Economy

연봉 7700만원 상위 10%의 세금 현실|지원금 15만원, 과연 공정한가?

haiyeon 2025. 6. 21. 13:22
반응형

정부가 발표한 민생회복 소비쿠폰 정책이 발표되자, 소득 상위 10% 고소득자들 사이에서 불만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이들은 국가 전체 소득세의 70% 이상을 부담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원금은 최저 수준인 15만원에 그치기 때문입니다.


 

국세청에 따르면,
2023년 기준 근로소득세 총액 59조7800억 원 중 72.2%인 약 43조1700억 원을 상위 10%가 납부했습니다.

종합소득세 역시 총액 51조5100억 원 중 84.8%,
즉 43조6800억 원이 상위 10% 납세자들의 몫이었습니다.

✅ 요약하면: 상위 10%가 국민 전체 소득세의 약 70~85%를 혼자 부담하고 있는 셈입니다

 


📌 연봉 7700만 원 이상이면 ‘상위 10%’

  • 정부는 건강보험료 납부액을 기준으로 상위 10%를 구분할 예정입니다.
  • 통상적으로 연봉 7,700만 원 이상인 직장인이 이에 해당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특히 2024년 1분기 기준 상위 10%의 평균 월급은 1,482만 원, 연봉으로는 약 1억 7,784만 원에 달합니다.

이들은 최고 소득세율 38%를 적용받는 고세율 구간이지만,
국가 지원정책에서는 번번이 소외되고 있다는 것이 주요 불만입니다.

 


🎫 소비쿠폰 지급액, 누구는 50만원 vs 누구는 15만원

이번 2차 추경을 통해 정부는 전 국민 대상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했습니다.
하지만 소득 구간별 차등 지급이 적용됩니다.

소득 구간1차 지급2차 지급총액
상위 10% 15만원 0원 15만원
일반 국민 15만원 10만원 25만원
차상위 계층 30만원 10만원 40만원
기초수급자 40만원 10만원 50만원
 

특히 인구소멸지역에 거주할 경우 2만원이 추가 지급됩니다.

 

실제 직장인들 사이에서는 다음과 같은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세금 떼고 나면 손에 쥐는 돈도 적은데, 왜 고소득자라는 이유만으로 지원은 제외되는가?”
“소득세는 누진세 구조인데, 혜택은 역진적인 느낌이다.”

정부 입장에서는 한정된 재원을 저소득층에 집중 지원하겠다는 방침이지만,
고소득층은 지속적인 세금 증가와 역차별에 대한 피로감을 호소하는 중입니다.


⚖️ 공정한 세제와 복지 정책, 어떻게 가능할까?

  • 누진세제 유지보편적 복지 간 균형이 과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 향후 고소득자의 기여에 비례한 혜택 설계가 없다면
    사회적 갈등이 점차 커질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 정리 하자면,

현재 소비쿠폰 지급은 내수 회복을 위한 정책이지만,
그 방식에 대한 형평성 논란은 쉽게 가라앉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세금을 많이 낸다는 이유만으로 지원에서 소외되는 고소득자들의 불만은 단순한 ‘투정’이 아닙니다.
공정한 정책 설계를 위한 정부의 세심한 접근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