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봉 7700만원 상위 10%의 세금 현실|지원금 15만원, 과연 공정한가?
정부가 발표한 민생회복 소비쿠폰 정책이 발표되자, 소득 상위 10% 고소득자들 사이에서 불만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이들은 국가 전체 소득세의 70% 이상을 부담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원금은 최저 수준인 15만원에 그치기 때문입니다.
국세청에 따르면,
2023년 기준 근로소득세 총액 59조7800억 원 중 72.2%인 약 43조1700억 원을 상위 10%가 납부했습니다.
종합소득세 역시 총액 51조5100억 원 중 84.8%,
즉 43조6800억 원이 상위 10% 납세자들의 몫이었습니다.
✅ 요약하면: 상위 10%가 국민 전체 소득세의 약 70~85%를 혼자 부담하고 있는 셈입니다
📌 연봉 7700만 원 이상이면 ‘상위 10%’
- 정부는 건강보험료 납부액을 기준으로 상위 10%를 구분할 예정입니다.
- 통상적으로 연봉 7,700만 원 이상인 직장인이 이에 해당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특히 2024년 1분기 기준 상위 10%의 평균 월급은 1,482만 원, 연봉으로는 약 1억 7,784만 원에 달합니다.
이들은 최고 소득세율 38%를 적용받는 고세율 구간이지만,
국가 지원정책에서는 번번이 소외되고 있다는 것이 주요 불만입니다.
🎫 소비쿠폰 지급액, 누구는 50만원 vs 누구는 15만원
이번 2차 추경을 통해 정부는 전 국민 대상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했습니다.
하지만 소득 구간별 차등 지급이 적용됩니다.
상위 10% | 15만원 | 0원 | 15만원 |
일반 국민 | 15만원 | 10만원 | 25만원 |
차상위 계층 | 30만원 | 10만원 | 40만원 |
기초수급자 | 40만원 | 10만원 | 50만원 |
특히 인구소멸지역에 거주할 경우 2만원이 추가 지급됩니다.
실제 직장인들 사이에서는 다음과 같은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세금 떼고 나면 손에 쥐는 돈도 적은데, 왜 고소득자라는 이유만으로 지원은 제외되는가?”
“소득세는 누진세 구조인데, 혜택은 역진적인 느낌이다.”
정부 입장에서는 한정된 재원을 저소득층에 집중 지원하겠다는 방침이지만,
고소득층은 지속적인 세금 증가와 역차별에 대한 피로감을 호소하는 중입니다.
⚖️ 공정한 세제와 복지 정책, 어떻게 가능할까?
- 누진세제 유지와 보편적 복지 간 균형이 과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 향후 고소득자의 기여에 비례한 혜택 설계가 없다면
사회적 갈등이 점차 커질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 정리 하자면,
현재 소비쿠폰 지급은 내수 회복을 위한 정책이지만,
그 방식에 대한 형평성 논란은 쉽게 가라앉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세금을 많이 낸다는 이유만으로 지원에서 소외되는 고소득자들의 불만은 단순한 ‘투정’이 아닙니다.
공정한 정책 설계를 위한 정부의 세심한 접근이 필요한 시점입니다.